글쓴이: Andrea Franklin Miami, Fl.  
- IISA Level 1,2 Certified Instructor
- Blade Fitness, Freestyle Dance
- FaSST Writer  
- Zephyr Inline Skate Tour Guide  

번역 및 주석: 문지욱

# 출처: 2002/10/30  쿠키클럽 정보마당


www.fasst.com


가기2(stride2), 가기3(stride3)의 차이점
- 그리고 더블푸쉬에 관하여



* 가기2- 일반적인 전진 기술로(Basic Stride), 한발 한발을 옆으로 밀어주는 푸쉬(Push 또는 Stroke)와 버티는 발에 중심이동을 통한 글라이딩(Glide, 나아가기)으로 구성되는 연속적인 동작으로 구성된다.

* 가기3- 레이싱 자세의 기본적인 형태로, 직선 진행방향을 좌우로 가로지르며 주행하는 크로스(Cross), 아웃, 센터, 인(Out, Center, In Edge) 엣지로 이어지는 엣지 변화와 중심이동으로 이루지는 롤링(rollng), 푸쉬가 끝난 발을 뒤로 되돌려 오는 리커버리(Recovery), 팔흔들기(Arm Swing) 등의 특징적인 부분이 있다.  


In response to your ques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stride 2 and 3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s the recovery foot placement.
When placing your recovery foot down in a stride 2 the foot lands on the center "edge" of the wheel. In a stride 3 the foot crosses the center axis of your body and lands on the outside edge then rolls over to the inside edge on the push.
가기2와 3의 가장큰 차이점은 '리커버리'된 스케이트를 내려놓을때(set down) 어떤 엣지를 쓰느냐에 있다. 가기2에서는 중간엣지로 내려놓지만, 가기3에서는 아웃엣지를 사용한다. 가기3에서 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 또는 우로 가로지르며(cross) 글라이딩을 하다가 이후에 반대발 아웃엑지로 내려놓고(set down)이후에 롤링(rolling)이 이루어 지고나서 안쪽엣지로 푸쉬를 하게 된다.

There is also a deeper knee bend than in the stride 2, mostly for aerodynamic purposes. This allows for more power when applying pressure on the stroke.
It also allows for a much longer stroke. Most recreational skaters that you see skating down the trails are doing a stride 2. Fitness skaters and speedskaters traditionally use the stride 3.
가기3은, 가장 큰 이유는 공기저항을 줄이려는 역학적인 목적때문에, 가기2 보다는 무릎을 더 깊게 구혀준다. 또한 이런 자세는 스트로크(또는 푸쉬)를 보다 강하게 한다. 즉 보다더 긴 스트로크를 가능하게 한다.  대부분의 레크레이션 스케이트는 가기2의 형태를 취하며, 전통적으로 피트니스 또는 스피드 스케이팅은 가기3의 형태다.  


Weight transfer also seems to be a bigger factor in the stride 3 and helps give a stronger stroke to the side.
무게중심이동 또한 가기3에서 비중있는 요소로서 스트로크를 옆으로 보다 강하게 할수 있도록 한다.


The other thing that falls into play in a stride 3 is the arm swing.
When arms are not in  the aerodynamic position behind the back, the arm of the stroking leg swings up and in front of the chest.
다른 한가지는 가기3만의 특징으로 볼수 있는 팔젓기(Arm Swing)이다(*가기1, 2는 양팔을 전방으로 향하여 중심잡기와 넘어지기에 대비하는 자세로 팔젓기가 없고, 가기3 부터 팔젓기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팔젓기는 뒷짐지기를 하지 않을때는, 스트로크하는 다리의 팔을 가슴앞쪽으로 들어올려 준다다(*물론 반대쪽 팔은 뒤로 쳐올려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한다. 앞뒤로 흔드는 스윙모양은 일반적으로 A자를 연상하면 된다. 또한 밀어주는 다리와 뒤로 벋은 팔은 수평을 이루도록 연습한다)


Now for the double push question. 더블푸쉬에 관하여.

Speedskaters have many different strokes that they use in a race. A double push is just one more trick in the bag.
In a traditional stoke the glide portion is a deceleration of speed. A double push just gives you an extra underpush to eliminate that deceleration.
선수들은 시합중에 다양한 스트로크를 구사한다. 더블푸쉬는 그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스트로크에서는 글라이딩(gliding; 푸쉬후에 버티는 발이 앞으로 나아가는 순간) 부분에서 스피드의 감소가 일어난다. 더블푸쉬는 위의 글라이딩 순간에 스피드의 감소를 없애주는 또하나의 푸쉬인 언더푸쉬(underpush)가 추가된다.  


It is great for when you need to catch up when the pack breaks away.
레이싱 팩(Racing Pack) 앞선수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호흡과 스텝을 맞추며 무리를 지어 따라가는 것)이 끝나고 앞선수를 따라잡을때 유용하게 쓸수 있다.(글쎄? 과연 그럴까?)


It is also good as a way to "rest" a little in a pack as it really keeps your speed up. For example in a marathon you may use quite a few different types of strokes.
또한 스피드를 유지하면서 팩을 따라갈때 휴식을 취하는 방법으로 좋다. 즉, 더블푸쉬를 하면서 앞사람과의 리듬을 맞추기가 쉽다는 것이다. 스퍼트를 내는 것이 아니고 단지 리듬을 맞추는 것이니,  휴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라톤에선 몇몇 다른 형태의 스트로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더블 푸쉬는 그런 스트로크의 리듬을 맞추기가 훨씬 수월하다는 견해다.


You may use quick short strokes for a sprint, long slow strokes when sitting in a pack and then switch to the double push to add some variety so your legs don't get tired. I know of very few experienced skaters that use only one stroke. On top of being tiring it would get very BORING!!
스퍼트(Spurt : 시작이나 결승점에서 폭발적인 힘으로 스피드를 증가시키는 것)를 매우 짧은 스트로크, 팩 대형에서는 길고 느린 스트로크를 사용할텥데, 이때 더블푸쉬를 추가하여 다양한 스트로크를 구사하게 되면 한가지 형태의  반복적인 스트로크로 자칫 지루하고 피로해질수 있는 것을 막을수 있다. 물론 몇몇 선수들은 오로지 한가지 푸쉬만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것이 근피로를 유발시키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지루하다' 것이다.


Sometimes it also just depends on who you are skating behind. You wouldn't want to be taking short choppy strokes when you are behind someone with a long slow stride.
때때로 이것은 누구의 뒤를 따라서 팩을 하느냐에 달려있긴 한데, 길고 느린 스트로크를 하는 사람 뒤를 따라갈때 변화무쌍한 리듬감을 원치는 않을 것이다. 자칫 나의 리듬감을 잃을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경기 운영에서 보면 느리다가 길다가 빠르다가..이런 조절로 뒤따라오는 선수를 지치게 만드는 것도 하나의 경기 전략이고 볼수 있다.


My advise to you is to develop as many different strokes as you can. It will make your skating much more interesting and you will also become a much better pack skater.
피로도라든지 경기전략등의 이유에서 처럼 다양한 리듬의 스트로크를 개발하고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것이 가능하다면 좀더 재밌고 팩 운영에서도 훌륭한 스케이터가  될것이다.


The double push is a great stroke to use but so are all the other "traditional" ones.
Hope this helps a little.
더블푸쉬는 선수들과 상급자들이 구사하는 파워와 테크닉을 요하는 스트로크 기술이고 그외의 것들은 전통적인 스트로크로 본다.
* 그러나 더블푸쉬도 주행 상황에서 펼쳐지는 하나의 기법일뿐 자신의 스타일과 능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될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즉 전통적인 스트로크가 주가 되는 주행법을 우선적으로 습득하고 후에 추가적인 기술로 더블푸쉬를 익히는 것이 정도라고 할 수 있다.  

*



채드 헤드릭의 더블푸쉬


A classic speedskating stroke contains a vertical position with knee flexion, a lateral fall (weight transfer), a push with leg extension, and a recovery for each leg. In the Double Push stroke, each side contains two vertical positions with knee bend, two falls, two pushes, and two recoveries before the other skate takes its turn. Except for a brief moment of unweightedness to allow the double-pushing skate a chance to recover back underneath the body in preparation for the regular push, each skate is constantly applying pushing pressure.

그림 하단에 보시면 더블푸쉬는 중심선에서 안쪽으로 푸쉬가 될때, 클래식칼 푸쉬는 글라이딩(나아가기)가 된다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알림]ICP(인라인스케이트 지도자 인증프로그램) 자격증이 무엇인가요? 인라인스쿨 2010.02.27 8088
163 [알림] ICP BASIC 과정이란? 인라인스쿨 2010.02.27 8379
162 10~11 ICP일정 인라인스쿨 2010.02.28 5090
161 [안내] 2010 인천월드인라인컵 날짜 확정(5월 23일/일) 및 참가신청 접수안내 인라인스쿨 2010.03.25 3603
160 2010 춘천월드레저 경기대회 인라인쿠키 2010.07.21 4202
159 [모집] ICP-BASIC 19차 2010년 5월 인라인스쿨 2010.05.03 4867
158 [모집] Level2 지도자시험대비 실기워크샵 인라인스쿨 2010.05.03 3635
157 2010 I LOVE INLINE 제8회 춘천 전국 인라인 마라톤대회 신영서 2009.12.30 2882
156 2009 서울시 인라인 롤러연맹회장배 겸 전국 대학 동아리 대회 개최 file 김선묘 2009.08.20 3628
155 2009 I LOVE INLINE 제7회 춘천 전국 인라인 마라톤대회!! 신영서 2009.01.06 2741
154 대학생 인라인 트랙대회 최종 홍보! 김정현 2008.10.28 2943
153 대학생 인라인 트랙대회 홍보합니다. 김정현 2008.10.09 2665
152 일렉트로룩스 어린이인라인스케이팅대회 이신애 2008.04.08 3615
151 [안내] 안산서킷스피드오픈 with 오토살롱(인라인 부문) 지가별(지성수) 2008.02.14 3110
150 I LOVE INLINE 제6회 춘천 전국 인라인 마라톤대회!! 신영서 2008.01.28 2684
149 [정보] KRSF 용백수이사님의 지도자 클리닉 Cook(문지욱) 2009.03.22 2867
148 '안동 인라인 경기장' 철거신세, "10억 혈세는 어쩌고…" 인라인쿠키 2009.02.10 3757
147 [모집] 제 10기 국제ICP지도자 인증시험 level1, level2 Cook(문지욱) 2009.02.03 2857
146 [정보] 스키인라인? 아니죠, 슬레지독 Cook(문지욱) 2009.01.30 3681
145 [대회] 스키 마라톤 file Cook(문지욱) 2009.01.23 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