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적으로 찰과상에 대처하는 방법이 잘못된 것이 많다는 기사입니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기다 보면 원하든 원치않든간에 찰과상과는 떨어질수 없는 사이가 될 것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보시고 혹시 내가 잘못알고 있는것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조선일보 발취]
From: http://brd.chosun.com/brd/view.html?tb=HEALTH09&pn=1&num=21

아이가 넘어져 팔꿈치나 무릎이 까져 피가 나면 제일 먼저 찾는 게 머큐로크롬이나 과산화수소 등 소독약이다. 상처에서 거품이 부글부글 날 정도로 ‘깨끗이’ 소독한 뒤 마른 거즈를 대고 반창고를 붙이면 일단 응급처치는 끝. 이런 과정을 몇 차례 반복해 상처에 딱지가 앉으면 비로소 다 나은 것으로 간주한다. 요즘은 머큐로크롬 대신 항생제 연고를 많이 사용하지만 그 이후 과정은 예전 그대로다. 적어도 수십년에 걸쳐 대부분의 부모가 이렇게 응급처치를 해 왔다.

“상처는 감염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건조시켜서 딱지가 생기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의 처치법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셈이다. 상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은 그러나 “상처에 대한 일반인의 상식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엉터리”라고 말한다. 심지어 의사나 간호사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입는 대부분의 가벼운 상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소독할 필요가 없다. 알코올이나 머큐로크롬 등으로 상처 부위를 소독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피부 상피 세포의 재생을 방해해 상처를 오히려 늦게 아물게 한다. 또 구태여 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 연고를 바를 필요도 없다. 그러나 상처가 심하게 오염돼 감염이 우려되는 경우나, 얼마나 감염됐는지 겉에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엔 소독을 하고 예방 목적으로 항생제 연고를 바를 필요가 있다.

상처를 입으면 가장 먼저 흐르는 수돗물에 상처 부위를 깨끗이 씻어야 한다. 상처를 입은 부위가 지저분하거나 더러운 경우엔 비누를 사용해서 씻는 게 좋다. 이렇게만 해도 충분한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도 가끔씩 흐르는 물로 상처 부위를 씻어 줄 필요가 있다. 염증을 일으키는 것은 물이 아니라 세균이므로 물이 들어가면 곪는다는 얘기는 엉터리다. 그러나 물이 고일 수 있는 움푹 파인 상처는 경우에 따라 염증이 생길 수도 있다.

대부분의 상처에서 생기는 진물에는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여러 가지 성장호르몬이 포함돼 있으므로 절대 닦아내선 안 된다. 오히려 진물이 마르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러나 욕창 환자나 당뇨병 환자 등의 만성 상처에서 나는 진물은 상처 회복을 더디게 하는 성분이 있으므로 닦아 내야 한다. 고름은 물론 짜내거나 닦아낸 뒤 깨끗이 소독해야 한다.

상처 부위는 가급적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 건조한 상태보다 수분이 적당히 유지된 촉촉한 상태에서 피부 세포는 40% 정도 빠르게 재생된다. 그러나 마른 거즈를 대면 상처 부위가 건조해질 뿐 아니라, 진물까지 모두 흡수해 버리므로 상처 회복이 더뎌지게 된다. 또 마른 거즈와 상처 부위가 서로 달라붙어, 거즈를 갈 때 새로 재생된 피부 조직이 2차적으로 상처를 입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감염이 우려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마른 거즈는 상처에 대지 않는 게 좋다. 요즘엔 상처 부위를 생리적으로 촉촉하게 유지하는 ‘습윤 드레싱제’가 많이 개발돼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하는 게 좋다. 습윤 드레싱제가 없다면 차라리 깨끗한 랩으로 상처 부위를 감싸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 마른 거즈에 연고를 발라서 상처에 대도 습윤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최근엔 일회용 밴드도 코팅 막 처리돼 있어 어느 정도 습윤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마른 거즈를 대면 상처 부위의 진물이 말라 딱지(가피)가 생기는데, 재생되는 피부 조직은 생리적으로 촉촉한 환경을 찾아 이동하므로 딱지 밑 세포의 이동은 느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딱지가 생기면 상처 회복이 더뎌질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염증이 생길 수도 있다. 이 같은 상처의 치유 과정은 흉이 형성되면서 아물 확률이 높아지므로 보다 깨끗이 상처를 낫게 하려면 딱지가 생기게 해선 안 된다. 그러나 상처 부위를 촉촉하게 유지하면 딱지가 생기지 않고, 따라서 흉이 발생할 확률도 줄어든다. 대개의 경우 피부가 진피까지 손상받은 경우 흉이 지게 된다. 상피만 손상받은 경우 대부분 흉 없이 깨끗이 낫는다.

상처 부위는 가급적 따뜻하게 유지하는 게 좋다. 온도가 높아야 산소 농도도 높아지며, 이 상태에서 피부 세포의 재생력이 극대화된다. 뿐만 아니라 호기성(好氣性)균의 식균(食菌) 작용도 활발해져 감염 없이 상처가 깨끗이 낫는다.


〈도움말:박명철·아주대병원 성형외과 교수, 전욱·한강성심병원 외과 교수, 홍준표·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교수〉
(임호준기자 hjlim@chosun.com )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인라인 스케이팅을 위한 올바른 준비운동과 스트레칭 방법 인라인스쿨 2003.05.22 4662
163 [방송] MBC ESPN 인라인스케이팅 클리닉 방송안내 인라인스쿨 2003.05.24 5523
162 국제인라인스케이팅협회(IISA) 지도자 인증 프로그램(ICP) 인라인스쿨 2003.06.04 5358
161 제 4회 2003년 IISA(국제인라인스케이팅협회) ICP(인증시험) 확정공지 인라인스쿨 2003.06.14 5094
160 2003 전주 인라인 마라톤 대회 인라인스쿨 2003.08.22 3296
159 운동후 한잔 당신의 건강을 앗아간다 인라인스쿨 2003.08.24 2842
158 인라인 스케이트 베어링 관련 종합 정보 인라인스쿨 2003.08.27 4983
157 Saturday Night Skating 행사 인라인스쿨 2003.09.04 3303
156 관절 무리없는 유산소 운동 근지구력 향상에 효과만점 인라인스쿨 2003.09.07 3522
155 인라인스케이팅 행사, 체육문화행사로 선별 허용키로," 개인 단독 차로주행은 엄정 단속 " 인라인스쿨 2003.09.17 2877
154 하이퍼 월드팀 채드 헤드릭, 디에고 로쎄로 선수 방한. 인라인스쿨 2003.09.17 4049
153 MBC 미디어텍 인라인마라톤 최강전 [9/22 수정 : 대회 장소 변경건 및 공지사항] 인라인스쿨 2003.09.17 5405
152 [칼럼]레이싱용 양말에 대한 심각한 척 하는 고찰 -이지하- 인라인스쿨 2003.09.22 3533
151 [칼럼] 스트레칭에 대한 오해 - 문지욱 - 인라인스쿨 2003.09.23 3340
150 헬멧 고르는법! 인라인스쿨 2003.09.30 4070
149 운동과 영양 인라인스쿨 2003.10.03 2763
148 찰과상 치료법 및 관리 방법 인라인스쿨 2003.10.13 13533
147 2003시화호전국인라인마라톤대회 인라인스쿨 2003.10.17 2776
146 한국은 유명한 인라인 관광지? 인라인스쿨 2003.10.29 3872
145 올림픽 공원 크리스마스 트리점등식 인라인스쿨 2003.11.27 2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