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니스(Fitness)를 위한 인라인 스케이팅(Inline Fitness, Blade Fitness)
- 문지욱 -
IISA ICP Certified Instructor(Level 1,2,3)
ICP Coordinator and Examiner in Korea
흔히 피트니스라 하면 건강관리, 체력관리라는 말로 쓰이지만, 최근에는 몸매관리의 측면으로 다이어트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본래 의미는 건강과 체력 또는 이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운동을 의미한다.
바야흐로 인라인스케이트의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텐데, 요즘에는 인라인의 기술을 습득하는데 급급한 분위기에서 이제는 인라인의 기술을 통한 건강,체력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인라인을 즐기고 있고 관심이 극대화되었다는 증거인데, 과연 인라인을 통한 피트니스적인 효과와 그 방법은 무엇일까요?
간략하게나마 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효과]
1. 유산소 운동으로 효과가 탁월하다 - 다른 종목에 비해 재미와 공간적, 시간적 효율성이 크다.
2. 과절부위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 운동후 후유증이 적고 장시간 운동할 수 있어 다이어트 처방에 우수하다.
3. 재활치료에 응용된다
[방법]
예시: (기본주행을 이용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보았음)
1. 초중급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Point
기술 - 기본주행(Striding)
시간 - 30~40분
에너지 소모 - 약 300 칼로리 소모
장소 - 바닥면이 평탄하고 부드러운 곳
강도 - 낮은 강도, 속도는 14~16 km/h , 심박수는 약 60~70%(MHR)
워밍업 - 5분
*가벼운 죠깅 또는 스케이팅
스트레칭 - 7분
* 대퇴근과 고관절 / 손목, 허리와 어깨 주의
본운동 - 15분
* 기본 주행(Striding)을 이용한 지속운동
쿨다운 - 5분
*천천히 스케이팅
스트레칭 - 8분
2. 중상급자 - I
Point
기술 - 기본주행(Striding)
시간 - 60~70분
에너지 소모 - 약 600 ~ 700 칼로리 소모
장소 - 바닥면이 평탄하고 부드러운 곳
강도 - 중상 강도, 속도는 15~19 km/h , 심박수는 약 65~80%(MHR)
워밍업 - 5분
*가벼운 죠깅 또는 스케이팅
스트레칭 - 7분
* 대퇴근과 고관절
본운동 - 45분
* 기본 주행(Striding)을 이용한 지속운동
쿨다운 - 5분
*천천히 스케이팅
스트레칭 - 10분
3. 중상급자 -II
Point
기술 - 앞뒤 모래시계(Swizzles), 가기(Striding), 크로스오버(Cross-over)
시간 - 40분
에너지 소모 - 약 400 ~ 500 칼로리 소모
장소 - 바닥면이 평탄하고 부드러운 곳
강도 - 중상 강도, 각 기술의 연속적인 실행, 심박수는 약 60~75%(MHR)
워밍업 - 5분
*가벼운 죠깅 또는 스케이팅
스트레칭 - 7분
* 대퇴근과 고관절
본운동 - 20분
* 모래시계(앞 뒤로 각 3분) - 가기 (2분) - 한발 모래시계로 원 그리기 또는 8자 그리기(앞뒤 각 3분) - 크로스 오버(오른쪽 2분)
- 가기(2분) - 크로스오버(왼쪽 2분)- 가기(2분)
쿨다운 - 5분
*천천히 스케이팅
스트레칭 - 10분
**** 참고 *****
1. MHR(최대심박수= 220- 연령)
자신의 연령에 따른 최대 심박수를 계산하여 그에 적당한 강도의 운동량을 산출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다.
2. 강도조절 방법
- 스피드를 증가시킨다
- 팔젓기를 하거나 팔을 들어 신체 부하를 늘린다
- 각 동작마다 중심을 더 낮게 또는 관절을 더 많이 구부려 준다
3. 항상 안전에 유의하며 특히 초급자는 가장 기본적인 주행법(Striding) 과 정지법(Stopping) 그리고 좌우 방향 전환법(Turning) 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합니다.
또한 오르막 내리막과 같은 지면 변화에 따른 대처 능력(Safety)이 우선되어야 최소한의 운동효과를 얻을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